







일상과 글 들 ♡♡ 캠핑 시기
나답게 살기 ♡♡-
44
-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스리(@opm0523)
- 46 팔로워
- 46 팔로잉
- 소속 방송국 없음
-
44
스리 (@opm0523)2024-03-03 22:48
#좋은글
겉모습만 보이는게 전부가 아니 듯💗
사람은
함께 있어보고
많이 겪어보고
길게 지내봐야
알수 있는거야
사람에겐
여러 형태의 모양이
있기 때문에
짧게 봐서는 그 사람의
진면목을
다 알수가 없는거야
겉 모습만 보고
그 사람을 판단하는
실수를 범하지 않는게
바람직하지...
사람을
알게 해주는 것은
시간이고,
사람에게
확신을 갖게 해주는 것은
그의 말과 그의 행동이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는
오랜, 아주 오랜
시간뿐입니다.
좋은 점 때문에 누구를
좋아 한다고 생각 하면요.
그건 가짜 래요
진짜로 좋아하게 되면
그 사람 속의 나쁜 점들이
별거 아니라고 여겨 진대요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3-03 14:06
베란다 애들 이렇게 정리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3-02 00:38
♡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3-01 08:44
어른이 되고 읽으면 울컥 하게 되는 어린왕자 명언
1ㆍ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은 사람이 사람의 마음을 얻는일
2ㆍ넌 네게 길들여 진 것에 대해 언제까지나 책임을 져야 하는일
3ㆍ사막이 아름다운 건 어디엔가 오아시스를 감추고
있기 때문
4ㆍ누군가에게 길들여 진다는 것은 눈물을 흘릴 일이 생긴다는 것
5ㆍ다른 사람에게는 결코 열어주지 않는 문을 당신에게만 열어주는 사람이 있다면 그사람은 진정한 친구
6ㆍ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7ㆍ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나를 좋아해 주는 건 기적이야
8ㆍ어른들은 누구나 처음에는 어린이였다 하지만
그것도 기억하는 어른은 별로 없다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2-29 14:38
나의 발~~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2-28 23:12
끄덕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2-27 16:13
#홍성집
한숨 내쉬지 마요. 한숨으로 시작한 하루는 한숨으로 마무리 되잖아요. 미소지어요. 미소로 시작하면 미소로 마무리가 되잖아요.
이왕 할 거, 이왕 살 거, 이왕 지낼 거, 활기차게 시작해요. 앞바퀴가 활기차게 돌아가면 뒷바퀴도 덩달아 씽씽 돌아가요. 마음을 돌리기 힘들겠지만 그럽시다. 긍정의 페달을 돌립시다.
『잘 지내고 있다는 거짓말』 중에서..
모두에게 펼쳐진 상황은 똑같다. 그러나 해석하기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긍정은 행복의 방향으로 흐르고, 부정은 불행의 방향으로 흐른다. 어떠한 일이든 어떻게 받아 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새로운 한주간의 시작을 긍정으로 힘차게 시작하자.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2-26 12:58
빡시다~~댓글 1
-
44
스리 (@opm0523)2024-02-25 09:00
🍒관계의 소중함🍒
만남은 인연이지만
관계는 노력입니다!
약점은 도와주고~♡
부족은 채워주고~♡
허물은 덮어주고~♡
비밀은 지켜주고~♡
실수는 감춰주고~♡
장점은 말해주고~♡
능력은 인정을 해주세요~♡
사람을 얻는 것이 커다란 행복이며
사람을 잃는 것은 크나 큰 슬픔입니다..!
그렇습니다
기쁨도 슬픔도 성공도 실패도
사람으로 연결되는 것이지요~
그러니
좋은 사람 만고 싶거든
내 자신이 먼저 어떤 사람인지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마치 사람은 자석 같아서
자신과 비슷한 사람을 끌어
당기기 때문입니다
성공도 같습니다
우리들의 그릇이
키운 만큼 담을 수 있는
사람들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힘이 들고
조금은 버거운 세상..!
우리 서로 사랑하며
감사하면서 살아요!댓글 0
-
44
스리 (@opm0523)2024-02-24 18:03
마음을 볼수 있는 또 다른 마음
언어는 참 중요하다
마음과 마음을 연결해 주는
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가운 말 한마디에
화가 나기도 하고
따뜻한 말 한마디에
행복해지기도 한다
차가운 말 한마디에
등을 돌리기도 하고
고마운 말 한마디에
정이 쌓이기도 한다
말은
보이지 않는 마음을 볼 수 있는
또 다른 마음이다
- 유지나, '지필 문학' -댓글 0
- 쪽지보내기
- 로그방문